본문 바로가기
😘 둥글 교실 이야기/[2020] 3-3

[2021.02.01 월] 국어 (연극 준비하기)

by 오뚜비밥 2021. 2. 2.

온라인으로 연극을 해야한다.

더군다나 남은 차시가 많지 않아서

어떻게 해야하나 굉장히 막막했다.

 

물론 이번 단원에서 실제 연극하는 것처럼

다양한 소품을 준비해서 실감나게 연극을 할 수는 없겠지만

 

이번 단원의 성취기준인

[4국01-04] 적절한 표정, 몸짓, 말투로 말한다.

 

를 살려서는 수업할 수 있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여러 가지 이야기 대본을 다양하게 읽어보면 좋겠지만

다양한 대본을 인쇄해서 제공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

 

국어 활동에 있는 '은혜갚은 개구리' 이야기로 연극을 하기로 선정하였다.

 

동기유발) 다른 학생들이 연극을 하는 것을 보고 연극에 필요한 것들 떠올리기

1월 2주 [국어] 연극 '토끼의 재판'

 

활동1) 연극 준비과정 알아보기

화이트 보드) 적어보세요 →Q. 연극을 준비할 때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1. 연극 정하기
  2. 장면 정하기
  3. 역할 나누기
  4. 소품 준비하기
  5. 인물 분석하기
  6. 연습하기

'연극을 준비할 때 필요한 것' 이라는 발문을 하니

학생들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들을 떠올렸다.

 

'등장인물, 소품, 효과음' 등은 도출해 냈지만

-> 연극의 3요소 (희곡, 배우, 관객) , 연극의 4요소 (무대, 희곡, 배우, 관객)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하여 연습하기' 와 같은

과정 요소는 도출하지 못하였다.

 

'실감나는 연극을 만들기 위해 준비해야할 것' 과 같은 발문을 덧붙였으면

나왔을 듯 하다.

 

활동2) 은혜 갚은 개구리 내용 파악하기

(전체) 묵독

내용 파악 질문

 

활동3) 연극 준비하기

(소회의실) 장면정하기

(전체) 장면 분배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소회의실) 역할 나누기

(전체) 인물 분석하기

(소회의실) 소품 준비하고 연습하기

 

장면을 정하고, 역할을 나누는 시간이 오래걸려

인물을 분석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학생들의 의사를 들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는 교사가 재량을 발휘하여

시간을 확보하고 중요한 학습요소를 챙기고 가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시간 실감나는 연극 발표를 위해

가상 배경 설치를 부탁하였다.

 

웹캠의 성능 떄문인지 가상배경 설정이 잘 안되는 친구들이 많을 것 같지만... ^^

다양한 활동을 위해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클래스팅에 다음과 같이 안내하였다.

 


< 줌 가상 배경 설정하기 >

다음주 국어 시간에

연극 수업할 때 실감나게 하기 위해서

줌 '가상 배경' 설정하기를 이용해보려 해요.

평소 줌에 접속하는

컴퓨터나 태블렛, 핸드폰에

첨부되어 있는 이미지를 저장해주세요.

그리고 다음 유튜브를 보고 가상 배경을 만들어주는 방법을 살펴봅시다.

 

- 수업시간에 다시한번 설명할테니 걱정말아요.

- 혹시 잘 안되어도 괜찮습니다~

 

  1. 스마트폰, 태블렛에서 가상 배경 설정하기

https://youtu.be/2X3wU3ou7Fg

2. 컴퓨터에서 가상 배경 설정하기

https://youtu.be/7TePnqQXmw4

스마트폰 버전에 따라 가상배경이 되지 않는 학생들이 꽤 많은 것 같다.

 

미술 수업, 진로 수업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측면들이 많을 텐데 좀 아쉽다!

 

다음 시간의 연극 발표가 기대된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