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31일 화요일] 💖
✨ 1-2교시 국어 '독서 감상문 쓰는 방법 알기'
4학년 2학기 국어 7단원에서는 독서 감상문에 대해 공부합니다.
2학기를 시작하며 독서 감상문을 쓰는 방법을 알고
꾸준히 올바르게 독서 감상문을 써 나가면 좋을 것 같아서
제일 먼저 7단원을 나가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활동순서>
활동1) 독서 감상문에 들어갈 내용 알기
먼저 띵커벨 워드 클라우드로 독서 감상문에 들어갈 내용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도록 한 후
교과서의 지문으로 확인해보았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들어갈 내용은 이미 잘 알고 있었어요.
생각만큼 글에서 구현되지 않는 것이 문제이지만요.
생각과 느낌을 꼭 독서 감상문의 마지막에서
쓰는 것이 아님을 느끼게 하기 위해
책을 읽은 동기 / 생각과 느낌 / 책 내용
을 색깔펜으로 구분하여 교과서 지문에 밑줄을 쳐보았어요.
시각적으로 생각과 느낌이 마지막 뿐만 아니라 중간 중간에도 골고루 나와있는 것이 보였습니다.
활동2) 독서 감상문을 왜 쓸까?
띵커벨 패드에 생각을 나누며
독서 감상문을 쓰는 이유를 각자 이야기 나눠 보았습니다.
저도 어른이 되고 나서야
책을 읽은 후 글로 남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는데...
학생들이 독서감상문을 숙제로만 느끼지 않고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건강한 수단이라는 것을
깨닫길 바랍니다.
활동3) 매력 적인 독서 감상문 제목은?
다양한 독서 감상문 제목을 살펴보며
어떤 독서 감상문의 제목이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는지 이야기 나눠 보았어요.
*** 책을 읽고... 라는 식의 제목 보다는
느낌과 생각을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제목을 만들어 보기로 하였습니다.
✨ 3교시 사회 '촌락의 종류와 특징'
숙제로 촌락에 다녀온 경험 사진을 올려달라고 했어야 하는데,
까먹은 관계로 ^^;;
촌락의 경험을 나누는 것으로 동기 유발을 하였습니다.
생각보다 촌락에서의 경험이 풍부한 아이들이었어요.
도입에서 학생들의 경험을 가지고
마무리에서 촌락의 종류를 나눠보려 했는데,
학생들의 경험에서 각 촌락별 특징적인 부분은 나타나지 않았어서 마무리 때 이부분은 생략하였습니다.
이번 차시의 백미는
패들렛에서 촌락을 자연환경별로 분류하고 이름 붙이는 것 이었는데요.
선행을 한 학생들이 많아 각 촌락의 이름을 이미 많이 알고 있어
그 부분은 넘어가고 분류하는 것이 초점을 맞췄습니다.
모둠별로 편차가 컸지만,
5모둠중 3모둠은 잘 따라왔고, 1모둠은 교사의 안내에 따라 , 1모둠은 조금 어려워했습니다.
아마 종이 카드를 가지고 분류를 했으면 훨~씬 잘했을 텐데
아무래도 패들렛에서 조작을 하려다 보니 조금 서툴러
시간이 더 소요된 측면이 있어 아쉬웠어요.
활동 1,2에서 시간을 너무 많이 보내
각 촌락에서 하는 일을 정리하는 활동3까지 가지 못하고 수업이 끝이 났습니다.
항상 적정 수업량을 맞추는게 어렵습니다.. ㅠㅠ
✨ 4,5교시 미술 '상상의 세계, 상상표현 방법, 상상의 동물 그리기'
미술 작품을 통해 여러 가지 상상 표현 방법(서로 다른 것을 조합하기, 크기를 바꾸기, 성질 바꾸기 등) 을 배우고 상상의 동물을 그려 보았습니다.
3~4학년 아이들은 이미 상상력이 풍부하여
상상 표현 방법을 많이 알려주지 않더라도
이미 표현하고 싶은 것들이 많아서 재미있는 작품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
온라인 미술 수업에서는 아쉬운 것들이 참 많습니다.
교사가 직접 작품에 터치를 해주면서 피드백을 해주면 아이들의 작품의 완성도가 정말 많이 올라가는데
줌으로는 그것이 불가능하니 완성도가 많이 떨어지더라구요...
화면에서 보면서 피드백 해주기엔 아이들이 작품이 잘 보이지도 않구요..ㅠㅠ
오히려 시간은 학생들이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딱~ 할 만큼만 작품을 만들어 완성도 높은 작품이 많이 나오지 않아 아쉬워요.. ㅠㅠ
💖 [9월 1일 수요일] 💖
✨ 1-2교시 수학 '분수의 덧셈과 뺄셈 (1)'
분수의 덧셈과 뺄셈,
1,2차시는 다행히 단위 분수의 개념을 잘 알면 어렵지 않게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이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서
분모끼리 , 분자끼리 더하는 혹은 빼는 오개념을 갖지 않도록
'분수' 자체가 하나의 수라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분수를 단위분수 몇개로 나타낼 수 있도록 계속 연습하게 했어요.
(예) 2/4는 1/4이 2개이다.
각각의 단위 분수가 별도의 '수'라는 것을 깨달아야
분모는 그대로 두고 분자끼리 더한다는 분수의 덧셈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 활동 후
교과서로 분수의 덧셈 연습을 하고
스내치 게임으로 분수의 덧셈의 답이 되는 짝을 구하도록 했습니다.
스내치 게임은 각각 카드를 가지고 짝끼리 해야 재미있는데
아무래도 전체 활동으로 하려니 좀 긴장감은 떨어져서 아쉬웠습니다 ㅠㅠ
오프라인 수업에서 하던 것을 온라인으로 구현은 할 수가 있으나
조금씩 아쉽네요.
분수의 뺄셈 첫 차시에서는
자연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것에 중점을 두어 수업을 하였습니다.
피자 한판을 보여주고
피자 한판이 나눠지는 수에 따라 나타내지는 가분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연습했어요.
https://www.mathlearningcenter.org/apps/fractions
Fractions
The Fractions app lets students use a bar or circle to represent, compare, and perform operations with fractions with denominators from 1 to 100. Choose the fraction model and number of equal parts. Use a color to select specific parts to show a fraction o
www.mathlearningcenter.org
이 사이트를 이용하려 했는데,
막상 수업할 때는 피자 그림만 이용했네요 ^^
연습후 2차시와 마찬가지로 교과서로 정리한 후
소수결 분수 퀴즈를 했습니다.
https://waytoschool.tistory.com/34
[놀이 수학] 소수결 분수 퀴즈 ㅣ4학년 2학기 1단원 분수의 덧셈과 뺄셈 ㅣ동분모 분수의 연산
안녕하세요 학교가는길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수학 놀이는 [소수결 분수 퀴즈]입니다!! 지난 번에 올려드린 교실 놀이 [소수결 퀴즈]를 활용한 수학 놀이입니다! 소수결 퀴즈가 궁금하신 분
waytoschool.tistory.com
학교가는길 선생님의
아이디어를 활용했습니다.
간단한 아이디어 인데도 학생들은 게임의 요소를 넣으면 즐거워 하더라구요!
시간 관계상 모든 문제를 풀지는 못했지만
각종 정리 문제에 유용한 놀이 아이디어 입니다.
✨ 3-4교시 사회 '촌락의 종류와 특징 마무리 & 도시의 특징'
지난 시간의 촌락의 종류와 특징에서
촌락에서 하는 일을
정리하였습니다.
분류했던 패들렛에 사진을 보고 할 수 있는 일을 답글로 남기도록 하여 스스로 정리하게 한 후
교과서를 통해 정리했는데요.
학생들에게 항상 먼저 스스로 정리하게 한 후 설명을 하니
시간은 역시 부족하더라구요.
어떤 것을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고,
어떤 것을 교사가 제시할지 취사선택하여
수업 시간을 맞추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도시에 살고 있는 학생들이라
도시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고 있었어요.
지금 보니 내가 생각하는 도시의 의미에
'도시는 무서운 곳이다.'도 있었네요...
못봤는데.. 어떤 생각으로 그렇게 썼을까요? 학생의 이야기를 들어봤으면 좋았을텐데 아쉬워요.
네이버 지도를 통해 도시에서 볼 수 있는 것을 찾고
그 안에서 사람들이 하는 일을 찾아보게 하였는데요.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 되어서
활동3을 다소 급히 끝냈습니다.
사실 학생들에게 활동3의 내용 (도시가 위치하고 있는 곳의 특징)이
좀 더 어렵게 다가왔을 텐데
시간 안배가 아쉬웠습니다.
미리 열심히 계획한 수업을 한 후에는 항상 시간 안배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모든 활동을 활동적으로 구성하기 보다
중요도에 따라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항상 염두해야 될 것 같아요.
'😘 둥글 교실 이야기 > [2021] 눈사람반 (4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 2학기 의미 있는 역할 지원서 쓰기, 국어 글을 읽고 감동 받은 부분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 나누기 (0) | 2021.09.07 |
---|---|
[9.6] 줌에서 원하는 이름으로 바꿔서 수업하기, 사회 도시의 모습 조사 보고서 쓰기 (0) | 2021.09.06 |
[8.30] 주말 사진으로 나타내기, 2학기 배움지도 그리기 (사회+국어), 과학 '식물의 생활' 1차시 (식물 명탐정) (0) | 2021.08.30 |
[8.25~8.27] 국어 프로젝트 수업 마무리, 아름다운 실수 그림책 읽고 실수에 대해 생각 나누기, 수학, 사회 도입, 의미 있는 역할 바꾸기 (PDC) (0) | 2021.08.27 |
[게더타운🎪 수업 적용기] 게더타운으로 개학식 하기 (0) | 2021.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