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PDC 교육 연구회
강동 공부 모임 4월 모임을 가졌습니다.
4월 모임은
3월 모임의 주제인 '자유와 책임 VS 통제' 를 교실에서 어떻게 실천했는지 이야기를
나누면서 시작 했습니다.
선생님들은 실천하면서도 어디까지 학생들에게 자유를 줄 것인지 고민을 많이 했다고 하셨습니다.
"학생들 개개인을 하나의 성인으로 대하고 존중하기."
참 어렵지요.
특히 줌에서 학생들끼리 서로 DM을 할 수 있도록 열어 놓는 것에 대해 의견이 나뉘었는데요.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시간임을 자각하고 DM을 하는 행위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학생들이 성장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때론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줌 수업에서는 얼굴만 비추고 있다 보니
얼굴 아래로 어떤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없어서
때로는 필기하는 손을 비추게 하기도 하는데
이런 것 역시 학생들을 통제하려는 교사의 행동은 아닐지 생각도 들었어요.
4월 모임의 이야기 나눌 주제는 '자기 주도성' 이었습니다.
구성주의에 입각한 프로젝트 수업이 큰 화두가 되고 있죠.
미래 사회 역량을 기르는데 프로젝트 수업이 필수로 여겨지는데요.
프로젝트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기 주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는 어디까지나 안내자 입장이고
학습을 하는 주체는 학생들 이기 때문이죠.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성을 길러주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학생들을 믿고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격려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자존감 향상을 돕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어요.
몇 가지 것들은 실천하고 있는 것들인데
좀 더 구체적으로 실천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그외에도 자기주도성을 높이기 위한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말하기 방법 등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눴다.
<자존감을 높이는 조언법> (일상적인 습관, 버릇, 원인이 있는 문제 행동이 아닌)
샌드위치 효과 대화법 3단계 칭찬-훈육-칭찬!
1단계 : 신뢰가 가는 칭찬을 구체적으로 두둑하게 하기 (신뢰 쌓기)
2단계 : 하고 싶은 조언을 진심을 담아하기
3단계 : 희망적인 말하기 (목표 제시, 격려하기, 응원하기)
5월의 과제 : 우리반 아이들의 자기 주도성을 길러주기 위해서 한달 동안 무엇이든 실천하기!
1. 칭찬과 격려를 구분하고 격려 연습하기
-> 실천 O / 격려 나눔 빙고, 꽝없는 뽑기 기계 온작품 읽기 연계한 격려 빙고
-> 확실히 격려를 배운 뒤로 오늘의 주인공 활동을 할 때 존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2. 공동체 공헌의 기회
3. 학급의 일과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일과 만들기
2,3 실천 방안에 대해 좀 더 생각해보아야겠습니다.
더불어 소모임도 함께 진행되었는데요.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062108
한 마디만 더 한 마디만 덜
미운 네 살 ‘유아 사춘기’와 입학 직전 ‘7춘기’, 육아 난이도 끝판왕 ‘사춘기’까지!피 말리는 아이와의 기 싸움을 현명하게 넘기는 방법!“이겁니다! 장담하건대, 이만한 부모지침서는 없
book.naver.com
요책을 함께 읽으며 문제 행동에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학기 준비] 1학년 준비를 위한 책, 연수, 교구(교과연계 보드게임) 추천 (0) | 2022.02.23 |
---|---|
[2022-1] 2022 겨울방학 연수 '교과연계 보드게임 지도사 2급 과정 (2일차) (0) | 2022.01.12 |
[2022-1] 2022 겨울방학 연수 '교과연계 보드게임 지도사 2급 과정 (1일차) (0) | 2022.01.11 |
[PDC] 강동 공부 모임 1회 (0) | 2021.04.01 |
[굿노트] 일러스트 스티커 공유 ( ver. 학교 ) ( 참쌤 비주얼씽킹 끝판왕 ) (0) | 2021.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