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움

[PDC] 강동 공부 모임 1회

by 오뚜비밥 2021. 4. 1.

PDC 연구회에서 하는 공부 모임에 함께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주제는 '긍정 훈육 철학과 함께 하는 교실 이야기'  이고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긍정의 훈육' 두 권의 책을 바탕으로 공부합니다.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1552439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미움받을 용기>의 원전. 저자가 우연히 만나게 된 아들러 심리학에 빠져들며 깨닫게 된 지식과 통찰, 그리고 수많은 상담을 통해 얻은 임상 경험과 사례들 중에서 독자들에게 꼭 전달하고 싶은

www.aladin.co.kr

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58250470

 

긍정의 훈육 - 교보문고

마음대로 안 되는 아이들 때문에 좌절감을 느껴본 부모와 교사들을 위한 교육서『긍정의 훈육』. 의 저자 제인 넬슨이 선보이는 훈육 원칙 실천 편으로, 25년 간 많은 사랑을 받아온 훈육서의 고

www.kyobobook.co.kr

아들러 심리학 철학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교실에 적용하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매 학기 초 야심차게 PDC를 도입하지만

끝까지 이끌고 가지 못하는 것의 원인이

'철학'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방법 만을 익히는 것이 아닌

깊이 사유하고 내 것으로 만들길 바랍니다.

 

첫 모임이라 오리엔테이션 적인 성격이 강했고

모임의 운영 방법을 함께 정했습니다.

 

기억하고 싶은 것들을 기록해두려합니다.

 

[모임의 운영 방법 정하기]

<투표에 있어서 참여자의 의사를 더욱 잘 반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3으로 갈수록 더 잘 반영)>

  • 가장 마음에 드는 것만 손들기
  • 내 마음에 드는 것 모두 다 손들기
  • 주먹(3,5) 점수 주기
  • 어떤 투표 결과가 더 내 마음을 잘 반영하였니?

 

[1회차 주제 나누기 : 자유와 책임 VS 통제 (교사의 역할은 어느쪽이어야 하는가?)]

⇒ 자유를 바탕으로 그러나 그에 따르는 결과에 대해 교사는 안내할 뿐, 그리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지도

⇒ 통제는 학생을 자립할 수 없게 만든다

 

1. 순종 하는 학생vs 자기 주장이 강한 학생

교사가 설명을 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선택에 있어서 확신을 갖지 못하고,

끊임없이 되묻는 학생들 "선생님 ~ 해도 돼요?"

우리가 그들이 순종적일 수밖에 없도록 지시를 내리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은 아닐까?

학생들이 스스로 교사의 설명을 해석하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

예) 줌에서 채팅 권한을 막아야 할까?

~하지마, ~안돼 보다 ~했을 때는 ~ 한 결과가 따라. 결과에 대한 책임. 무조건 금지하기 보다는 스스로 규칙을 세우고 지키도록 하기

 

2. 중성행동(남에게 해가 되진 않지만 일반적이지 않다고 판단되는 행동)

예) 염색, 화장, 바르게 앉지 않는것, 공부를 하지 않는 것

무조건 ~해야해, ~하지 말아야해 보다는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질 수있도록

교사는 그 행동을 했을 때 좋은점, 나쁜점, 그에 따른 결과를 안내하는 역할

그 행동을 그대로 내버려 두는 것은 잘못 된 해석 → 이는 방임으로 이어짐

 

3. 모델링

아이의 행동을 바꾸는건 모델링할 수 있는 어른이 있는 것

 

4. 교사의 권위는 어디서 오는가? 존경 받는 교사? 권위 있는 교사?

Q1)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존중할 것인가?

Q2)  교사는 학생에게 어떻게 존중받고 싶은가?

→ 교사가 학생에게 존중받고 싶은 것만 생각하지 않고, 학생을 어떻게 존중할지. 상호 존중의 자세

 

[소감 나누기]

경알느하 → 경험한 것, 알게된것, 느낀 것, 하고싶은 것

 

[ 다음 모임 까지 교실에서 실천할 것]

1. "~해도 돼요" 라고 물어 볼때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기

" 선생님은 여러분이 "~해도 돼요?" 라고 물어볼때, "스스로 생각해보세요." 라고 말할 겁니다. 선생님이 이렇게 말하는 것은 선생님이 여러분에게 답변하기 싫어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선생님은 여러분이 하는 행동 중 '놀욕때빼험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우리반에게 피해가거나 남을 상처주는 행동이 아니라면 하지 말아야하는 행동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스스로 생각해보았을 때 상황에 적절한지 판단해보세요. 그리고 행동하세요. ~해도 되는지 아닌지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여러분과 더 많이 대화 나누고 싶습니다. "

 

2. 채팅과 주석사용 막지 않기

" 선생님이 다른 선생님들과 연수를 할때, 선생님들께서 주석 사용 금지를 하실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강의를 듣는 선생님들 개개인들이 스스로 필요할 때만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믿기 때문입니다. 선생님은 여러분이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믿습니다. 필요할 때만 주석 기능을 사용하고, 주석 기능을 사용해서 친구들을 방해하지 말아주길 바랍니다. 그리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해서 행동하는 여러분이 됩시다. 대신 그 행동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져야한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해요.책임이라는 것은 다양한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제재나 벌이 될 수도 있지만 다른 친구들이 여러분을 생각하는 인식, 태도 ( 저 친구는 왜저래~?) 이런 것도 행동에 대한 책임이 될 수 있습니다. 잘 생각하고 판단하는 현명한 여러분일 거라고 믿습니다. "

 

하지만,

통제의 힘, 유혹은 너무나 강해서

빠른 행동의 변화를 보고 싶은 많은 교사들은

자유와 책임으로 아이들의 변화를 기다리기 어려워할 것 같다. (나 포함)

 

어떤 하나의 가치가 옳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1년동안 어떤 학생들로 교육하고 싶은지는 정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